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소영 크리틱뮤지킹 4 - 작곡가 초청시리즈 <김대성>땅밟기 2025.03.25(화) 19:30 모차르트홀

공연소식

by 주)예술기획파홀로 2025. 2. 26. 19:20

본문

 

이소영 크리틱뮤지킹 4 - 작곡가 초청시리즈 <김대성>

땅밟기

<안내>

1. 일시 : 20250325() PM 1930

2. 장소 : 모차르트홀

3. 주최 : 음악연구소 NUNC / 주관 : 예술기획파홀로

4. 티켓 : 전석 30,000*인터파크 1544-1555

5. 문의 : (02) 582-0040

6. 출연진

작곡: 김대성(작곡가)

연주 : 류근화(대금) 박솔지(해금) 피아노(김명현)

대담 게스트: 원일(작곡가, 음악감독)

기획 및 사회: 이소영(음악평론가)

 

<기획의도>

서양음악과 한국전통음악의 경계를 넘나들며 활동해 온 음악평론가 이소영(음악연구소NUNC 소장)오늘, 여기의 한국음악을 조명하는 이소영크리틱뮤지킹’ 4를 개최한다.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현장비평으로서 평론가 이소영의 음악하기(musicking)’라는 개념으로 만들어진 이소영크리틱뮤지킹21세기 한국음악의 건강한 생태계를 위하여 평론가 고유의 정교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음악가들을 초청하는 시리즈 음악회이다. 대담과 음악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색있는 공연으로 비평계에 주목을 받고 있는 이소영크리틱뮤지킹 시리즈는 2023년 김성국 편에서 음악회의 깊이와 독특한 컨셉을 인정받아 이데일리문화대상 국악부문 후보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작곡가 이건용, 최우정, 김성국에 이어 올해 4번째 작곡가초청시리즈의 초청대상은 30여년 전부터 국악과 양악의 경계를 넘나들며 중견작곡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해온 작곡가 김대성이다. 그의 수백곡이 넘는 작품 가운데 특별히 이번 음악회에서는 대금, 해금 그리고 피아노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양, 국악기가 융합된 창작 실내악곡이 연주된다. 1부는 작곡가의 작품 세계와 작곡가의 음악적 세계관을 밀도있게 조명하는 대담이 진행되며 2부에서는 류근화(대금), 박솔지(해금), 김명현(피아노)이 연주를 맡고 대담의 게스트로 원일이 참여한다.

 

 

 

 

<출연진 소개>

김대성 : 작곡

김대성은 1991년부터 민요, 풍물, 무속음악 등 한국음악의 현장연구를 기반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하는 땅밟기 작곡가로서 30여년에 걸쳐 한국 창작음악계를 대표하는 중견 작곡가 중 하나이다. 스승 이건용(1947~)과 김순남(1917~1983), 토루 다케미츠(Toru Takemitsu), 헝가리 벨라 바르톡(Bela Bartok)으로부터 강한 음악적 영향을 받은 김대성은 관현악곡(국악,양악), 협주곡, 독주곡, 오페라, 교성곡, 뮤지컬, 무용음악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표되고 있는데, 그러한 음악에는 주로 한국전통음악의 현장에서 체험한 음악(민요, 풍물, 굿 음악 등등)과 우리음악에 내제되어 있는 고유의 미학과 철학의 영향이 짙게 나타난다. 특히 그는 현장음악연구의 영향으로 한국적인 무속을 중심으로 한 유불선이 통합된 풍류(風流)적 음악관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한 창작음악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런 경향은 관현악곡과 실내악곡에서 나타난다.

 

류근화 : 대금

)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교수

-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 역임

-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및 전남대학교, 단국대학교 강사 역임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 20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

- 1회 전국승달국악대제전 기악 일반부 대상

- 대금창작음악연구회, 한국정악원 이사, 악회 긍만고동인

 

박솔지 : 해금

) 해금연구회 회원, 한국해금앙상블 단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오케스트라아리랑 악장 역임

- 세향국악오케스트라 악장 역임

- 32회 온나라 국악경연대회 대통령상

- 23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해금 금상

 

김명현 : 피아노

) 서울예고 및 예원학교 출강, 공연기획사 톤픽쳐 대표

- 베를린예술대학교 예비학교,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수료

- 서울예술고등학교 음악과 전체실기수석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실기 수석 졸업

- 베를린 한스아이슬러 음악대학교 석사과정 졸업

 

원일 : 게스트, 작곡가

) ACC월드뮤직페스티벌 예술감독

-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예술감독 역임

- 여우락 예술감독 역임

- KBS 국악대상, 대종상 음악상 4회 수상

 

이소영 : 평론(이소영크리틱뮤지킹 예술감독)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기악과 피아노 전공 학사 및 음악학과 동대학원 석사를 취득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음악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서 Post Doctor과정을 마쳤다. “국악기 개량의 현황과 과제로 동아일보 신춘문예 음악평론 당선 후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오가는 음악평론가 및 근현대 한국음악을 연구하는 음악학자로 활동해 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고려대, 중앙대, 서울대 등에 출강하였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와 한양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음악이 있는 열린공간>, <명창명인열전 뉴힐하우스콘서트>등 다수의 음악회를 기획 및 감독하였고 2017 여우락 페스티벌의 컨템퍼러리 시나위음악감독과 오페라 <박하사탕>초연의 제작감독, 2022반향(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묵의 드라마투르그를 맡았다. [나는 다르게 듣는다], [한국음악의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소영의 음악비평- 생존과 자유], [20세기 한국음악의 혼종적 음악하기][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등 다수의 학술저서와 평론집이 있다.

 

<프로그램>

1부 대담 및 렉쳐 (40)
주제: 김대성의 작품세계
출연: 이소영(음악평론가) - 김대성(작곡가)
작품 감상


1. 대금과 피아노를 위한 ” : 대금, 피아노
휴식
2부 연주와 대담


2. “달무리피아노 독주곡(1992) : 피아노


3, 대담 이소영, 김대성, 원일
* 작곡가 원일이 바라본 김대성 작곡가는?


4. 대금 독주를 위한 대숲소리” (2007)


5. 해금과 피아노를 위한 다랑쉬”(2002)

관련글 더보기